[이철영 칼럼] 이재명표 ‘잘사니즘’의 실체가 무엇인가?
- 자언련
- 2월 17일
- 1분 분량
지난해 7월 다함께 먹고살자(‘먹사니즘’)며 정부예산을 난도질한 이재명 민주당대표가 지난달 신년기자회견에서 “이념·진영이 밥 먹여주지 않는다”더니 며칠전 국회 교섭단체대표 연설에서 다함께 잘살자는 ‘잘사니즘’을 외쳤다. 그리고 35조 원 추경을 제안하면서 민생지원금 포기 선언 보름 만에 다시 민생지원금과 지역화폐를 꺼내들었다.
‘잘사니즘’이라는 사이비 실용주의 구호로 국민을 호도하려는 것인가? 이 대표는 절박한 ‘반도체특별법’ 처리는 주저하면서, “성장과 분배의 공존” “창의와 자율” 등을 얘기하며 “주4일 근무”와 ‘국회의원 국민소환제’ 등과 같은 대선용 사탕발림 말들을 쏟아내고 있다. 그는 AI와 첨단기술을 통한 생산성향상을 전제로 ‘노동시간 단축과 주4일 근무’의 논리를 펴면서 그런 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노동시간 유연화는 외면하는 모순을 드러내고 있다.
이 대표는 대선 출마를 염두에 두고 “한·미동맹은 우리 외교·안보의 근간”이라는 용감한(?) 우클릭 메시지를 내기도 했다. 형사피의자 신분으로 방약무인·회빈작주 행보에 거침이 없는 이 대표에게는 ‘먹사니즘’이나 ‘잘사니즘’이 아니라 막무가내로 멋대로 살자는 ‘막사니즘’이 어울리는 구호가 아닐까?
2025. 2. 17 이철영 대변인실장
Comments